중국은 국경절 당일인 1일 군용기 38대를 타이완 방공식별구역 안으로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2일과 3일에도 군용기 39대와 16대가 투입됐습니다 <br /> <br />4일에는 규모가 더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전투기와 폭격기 등 58대가 타이완 방공식별구역 안으로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그야말로 역대급 무력시위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무력시위는 곧바로 미중 간의 신경전으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"중국의 도발적인 군사 활동을 매우 우려한다"며 중단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타이완이 충분한 방어능력을 유지하도록 계속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네드 프라이스 / 미 국무부 대변인 : 인도·태평양지역의 동맹국들이 밝혔듯이 우리는 중국 측에 타이완에 대한 군사적, 외교적, 경제적 압력을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러자 중국도 즉각 타이완은 자국 영토이므로 내정 간섭이라고 맞받아쳤습니다. <br /> <br />또 "양국관계를 해치고 지역 안정을 파괴하는 미국의 도발을 묵과하지 않겠다"고 으름장을 놓았습니다. <br /> <br />타이완을 둘러싸고 긴장감이 높아지자 타이완 당국은 "만약 중국이 전쟁을 일으키면 끝까지 싸울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타이완은 최근 대규모 침략방지 군사훈련도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[쑤전창 / 타이완 행정원장 : 우리는 하나로 뭉쳐서 스스로를 강화해야 합니다. 그래야 타이완을 합병하려는 나라들이 무력에 의존할 엄두를 내지 못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이번 무력시위가 당장 무력충돌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군사행동에 나설 경우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안보전문가들은 이번 무력시위가 군사행동을 위한 준비라기보다는, 국제사회를 향해 타이완 문제와 관련해 더 이상 선을 넘지 말라는 경고를 보내는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형근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100610275061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